2025년 4월 한국의 출생아 수가 전년 동월 대비 8.7% 증가한 20,717명을 기록하며 1991년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4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출생아 수는 지난해 7월부터 10개월 연속 증가하고 있다. 이는 혼인 건수의 증가와 출산 가능 인구 확대 등 복합적인 요인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혼인 건수 4.9% 증가
한국은 혼외출산 비율이 낮기 때문에, 혼인 건수가 출산율의 주요 선행 지표로 작용한다. 통계청 관계자는 “출산 증가는 작년 이후 혼인 증가, 30대 초반 여성 인구 증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다양한 출산 장려 정책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로 2025년 4월 혼인 건수는 18,921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 증가하며 13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는 1991~1995년생 ‘에코붐 세대’(2025년 기준 30~34세)가 결혼과 출산의 주요 연령대에 본격 진입한 영향도 크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25년 5월 기준 30~34세 여성 인구는 165만 명으로, 2020년 대비 약 9% 늘었다. 출산 적령기 여성 인구가 증가하면서 출생아 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24기 옥순이 했던 난자 동결, 정부가 돕는다
정부는 출산·양육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정책적 대응을 확대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2025년 1월 발표한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통해 혼인 여부 관계없이 20~49세 남녀에게 생애 최대 3회의 가임력 검사비를 지원하고, 생식세포 동결 및 보존 비용도 새롭게 보조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안전하고 건강한 출산을 위해 제왕절개 시 본인부담금을 면제하고, 난임 및 산전·후 우울증을 겪는 부부를 위한 심리·정서 지원이 확대된다.
그럼에도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2024년 기준 0.75명으로 인구를 유지하기 위한 기준선인 2.1명에는 한참 못 미치고 있다. 유엔 경제사회국(UN DESA)이 최근 발간한 ‘2024 세계 인구전망 보고서’는 한국을 ‘초저출산국’으로 분류하며 향후 30년 내 출산율이 인구 유지선(2.1)까지 회복될 확률이 0.1% 이하라고 전망했다.

1억 대출 원금 탕감도 추진
정부는 이러한 저출산 흐름에 대응하기 위해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자녀 수에 따라 최대 1억 원 대출 원금을 단계적으로 탕감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외에도 자녀 수에 따른 세제 혜택 확대, 공공임대주택 공급 강화, 돌봄 서비스 강화 등 출산과 양육 부담을 줄이기 위한 종합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