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프랑스의 합계출산율이 1.62명으로 제1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한때 출산율 2.0명을 기록하며 회복 가능성을 보였던 프랑스는, 2023년을 기점으로 자국 통계 집계 이래 최저치를 경신하는 중이다. 이같은 변화는 어떤 배경에서 비롯된 것일까. 프랑스 출산율의 성공 신화 2008년 프랑스는 합계출산율 2.0명을 넘어서며 유럽에서 가장 높은 출산율을 기록한 국가로 꼽혔다. 2년 후 2010년에는 출생아 수 83만 3천명, 합계출산율 2.03명을 달성하며 정점을 찍었다. 하지만 지난해 출생아 수는 66만 3천 명으로, 2010년 대비 약 21.5% 감소한 수치다. 2000년대 초반 프랑스의 높은 출산율은 탄탄한 제도적 기반과 실질적인 지원 정책, 그리고 일·가정 양립이 가능한 사회적 환경에서 비롯된 결과다. 프랑스 정부는 1980년대 이후 수당 정책, 주거·보육 지원, 남녀 모두에게 적용되는 육아휴직 제도 등 다양한 가족 정책을 꾸준히 정비해왔다. 특히 소득 수준과 자녀 수에 따라 차등 지급 되는 ‘가족수당’을 도입해 자녀 양육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실질적으로 완화했고, 다자녀 가구일수록 더 큰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했
2025년 4월 한국의 출생아 수가 전년 동월 대비 8.7% 증가한 20,717명을 기록하며 1991년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4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출생아 수는 지난해 7월부터 10개월 연속 증가하고 있다. 이는 혼인 건수의 증가와 출산 가능 인구 확대 등 복합적인 요인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혼인 건수 4.9% 증가 한국은 혼외출산 비율이 낮기 때문에, 혼인 건수가 출산율의 주요 선행 지표로 작용한다. 통계청 관계자는 “출산 증가는 작년 이후 혼인 증가, 30대 초반 여성 인구 증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다양한 출산 장려 정책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로 2025년 4월 혼인 건수는 18,921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 증가하며 13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는 1991~1995년생 ‘에코붐 세대’(2025년 기준 30~34세)가 결혼과 출산의 주요 연령대에 본격 진입한 영향도 크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25년 5월 기준 30~34세 여성 인구는 165만 명으로, 2020년 대비 약 9% 늘었다. 출산 적령기 여성 인구가 증가하면서 출생아 수에도 긍정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