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볶행 인문학 로드의 두 번째 주제는 ‘지지고 볶는 여행’(이하 지볶행, 매주 금요일 밤 8시 40분 ENA,SBS플러스 방송 및 티빙)에 등장한 ‘황금소로’와 그 길 한 켠에 자리 잡은 카프카의 생가를 중심으로 카프카 문학에 대해 이야기했다. 프라하 성은 고건축 단지 임동현 : 프라하가 있던 지역인 보헤미아 지역은 일찍부터 보헤미아 공국이 발달했다. 나중에 보헤미아 왕국으로 발전하게 된다. 프라하성이 처음 지어진 것은 870년인데 초대 보헤미아 공작인 보르지보이 1세 때 이 성을 건축했다. 보헤미아 공국 역사의 시작을 알린 건축물이다. 이 프라하 성은 규모가 가장 큰 성으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 사실 프라하 성은 성 한 채가 아니고 그 안에 많은 궁전들 그리고 성당, 예배당, 정원까지 포함하는 하나의 건축 단지라고 생각해야 한다. 임동우 : 실제로 대통령 관저도 프라하 성에 있다. 프라하성은 오랜 기간 동안 확장을 하면서 성당도 생겼다. 9세기 때는 로마네스크 양식이 왔고 그 다음에는 고딩 양식이 왔다. 그 후 르네상스 양식도 있고 나중에는 바로크 양식까지 더해져서 성이 도시 같은 느낌을 받게 되는 이유는 이런 양식들이 중첩되어 있어서 다양한 건축 양식을
지볶행 인문학 로드의 첫번째 주제는 ‘지지고 볶는 여행’(이하 지볶행, 매주 금요일 밤 8시 40분 ENA,SBS플러스 방송 및 티빙)에서 수 없이 이야기 되었던 ‘카를교’이다. 카를교는 체코의 수도 프라하를 관통하는 블타바 강을 동서로 연결하는 623년 전에 지어진 다리다. 이 다리는 ‘지볶행’ 22기 영수와 영숙이 2회차(3월 7일 방송) 중 다리 밑을 지나는 장면에서 처음 등장하는데 조선 건국 초기 태종 시대와 같은 연대인 1402년에 완공된 다리라고는 믿기지 않을 정도로 웅장하고 견고하다. 4월 2일 오후 6시 서울 목동 방송회관에서 ‘지볶행 인문학 로드’ 대담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지볶행 인문학 로드’의 첫 주제를 카를교로 잡고 카를교와 관련된 체코의 역사, 문화, 언어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프라하가 신성로마제국의 수도가 되면서 만들어진 카를교 임동현 교수: ‘카를교라는 이름은 이 다리를 건설했던 카를 4세에게서 따온 것인데, 카를 4세가 보헤미아 왕국의 국왕과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를 겸했다. 그런데 당시까지만 해도 프라하는 유럽에서 어떤 정치적인 중요성이나 문화적인 중요성이 그렇게 크지 않은 도시였다. 그래서